top of page
검색
  • 작성자 사진HIGINO

[CX Story] 이케아 매장 고객 경험 설계의 비결

이케아(Ikea)는 연간 매출이 50조원이 넘는 세계 최대 규모의 가구 브랜드입니다. 아시다시피 이케아 가구 제품은 “민주적인 디자인 접근법“을 통해 고객이 직접 조립하게 설계하여 원가를 절감함으로써 퀄리티 대비 싸게 느껴지는 가격에 제공됩니다. 이러한 이케아의 성공 뒤에는 전세계 400개가 넘는 매장에 일관되게 적용된 고객 경험 설계의 비결이 있습니다.



그것은 바로 제품의 구매에서 사용까지 고객이 직접 상당한 “노력“을 들이게 함으로써 고객이 느끼는 제품의 가치와 만족도를 높이는 고객 경험 설계입니다. 2011년 하버드 비즈니스 스쿨 연구에 따르면, 소비자는 완성된 가구 대비 직접 조립한 가구에 63% 더 높은 가치를 부여했다고 합니다. 이런 현상을 “이케아 효과“라고 명명까지 했습니다.



이케아 매장에서 고객은 미로와 같이 설계된 “Show Room”과 “Market Hall”을 거치면서, 제품을 보고 구매 결정을 하고 실제 제품을 구매하기 위해 결제하는 데까지 1km가 넘는 거리를 걸어야 합니다. 그 결과, 이케아 고객에게 제품 구매는 이러한 거리와 미로를 헤쳐 나오는 “노력“에 대한 보상이고, 그만큼 제품에 대한 가치를 더 높게 느끼게 됩니다.



이케아 매장에는 곳곳에 연필과 메모지가 비치되어 있습니다. 고객이 쇼핑할 아이템을 적어두는 행위는 기억을 위한 실용적인 역할도 하면서, 이 또한 고객의 “노력“으로서 심리적 일관성을 위해 실제 구매로 이어지게끔 하는 장치이기도 합니다.



이케아의 사례에서 보는 바와 같이 리테일 매장에서의 고객 경험 설계는 단순히 “좋은” 고객 경험이 아니라, 브랜드가 추구하는 가치와 일관된 관점에서 구매 의사 결정 프로세스를 돕도록 고객 경험 요소를 설계하는 것이 핵심이라고 하겠습니다.

조회수 1,443회댓글 0개

최근 게시물

전체 보기

17~18세기 프랑스 상류사회의 사교 모임을 ‘살롱’이라고 합니다. 살롱은 응접실을 뜻하는 프랑스어로손님들에게 식사나 차를 대접했습니다. 초대받은 손님들은 그곳에서 서로의 지식을 나누었습니다. 당시 살롱 손님들은 고상한 취미와 예의, 교양을 갖춘 사람들이라고 인정받았으며 각 분야의 지식인들이 자신이 가진 것들을 나눴기 때문에, 재능을 나누는 장소라는 의미에

최근 날로 격화되는 브랜드 간 경쟁에서 앞서가기 위해, 많은 브랜드가 소비자 고객을 대상으로 브랜드 마케팅 차원에서 고객 경험의 중요성을 강조하면서 체험 마케팅을 활용합니다. 오래 전부터 마케팅 및 심리학 분야의 연구자들이 고객 경험과 고객의 브랜드에 대한 태도에 대한 다양한 이론적 모델을 제시해 왔는데, 오늘은 실제 소비자를 대상으로 한 실증 연구 결과를

MZ 세대들의 핫플레이스 성지 중 하나인 강남역! 수많은 건물들 사이로 유독 눈에 띄는 한 건물이 있습니다. 모던한 외관에 건물 전체를 둘러싼 커다란 사각형 창이 시선을 사로잡는데요, 바로 지난 6월 29일 오픈한 체험형 플래그십 스토어 ‘삼성 강남’입니다. MZ 세대를 공략하는 마케팅의 중요성이 커지는 가운데, 삼성 역시 소비시장의 큰 손으로 떠오르고 있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