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검색
  • 작성자 사진HIGINO

[Trend news] 변화하는 교육 트렌드 ‘에듀테크(EduTech)’

최종 수정일: 2021년 12월 13일

코로나19의 확산으로 비대면 업무와 온라인 비즈니스 그리고 온라인을 이용한 교육이 활성화되면서 전통적인 운영 방식과 서비스 등을 디지털화하는 디지털 전환(Digital Transformation)에 대한 플랫폼 구축과 활용은 이제 필수가 되어가고 있습니다.


이미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인공 지능(AI), 사물 인터넷(IoT), 빅데이터 등을 기존 시스템에 접목하여 발전시키고 있으며 정보 통신 기술을 기반으로 플랫폼을 구축하고 활용하며 새롭고 혁신적인 시스템들을 만들어 나가고 있습니다.


이처럼 새로운 시스템과 서비스가 나타나면서 일자리의 구조가 변경되고 있는 가운데 미국, 유럽 등의 선진국을 중심으로 기존의 교육 방식 또한 급속도로 변화하고 있습니다. 특히, 장기화된 코로나19 팬데믹 사태로 인해 다양한 분야에서 비대면 온라인 학습이 활성화되면서 에듀테크(Edutech)에 대한 관심은 점점 더 커지고 있습니다.




<Icon Image By flaticon>



기술과 손잡은 교육 ‘에듀테크’


에듀테크는 교육(Eduation)기술(Technology)합성어로 앞서 말한 인공 지능, 사물 인터넷, 빅데이터 등의 첨단 기술을 기존 학습 시스템에 접목하고 발전시킨 차세대 교육을 말하며 교육 분야의 디지털 전환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습니다.


사실, 에듀테크는 코로나19 사태 이전에도 학생들에게 첨단 기술에 대한 지식과 호기심을 키울 수 있도록 미국과 유럽, 우리나라 등에서 관련 기술과 서비스의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었습니다. 지금도 어떻게 하면 사교육이 아닌 일반 학교 수업 시간에 에듀테크를 접목시키고 통합할 것 인가에 대한 연구는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중입니다.


현재 가장 활성화된 에듀테크 분야는 인공 지능 스피커의 보급과 더불어 유아를 대상으로한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의 스마트기기에 VR(가상현실)이나 AR(증강현실)을 접목시켜 학습의 몰입도를 높인 실감형 콘텐츠 분야가 꼽히고 있습니다.



<Image By shutterstock>



가속화되는 에듀테크 산업


코로나의 확산과 장기화로 인해 자녀가 집에 머무는 시간이 늘어나면서 에듀테크는 원격 교육, 비대면 수업에 활용 가능한 도구로서 에듀테크 산업의 가속화를 이끌고 있습니다. 2020년부터 교육부에서는 비대면 긴급 지원, 원격 교육 지원 센터 건립을 추진하기 위해 막대한 예산을 투입하고 있으며 이제 온라인 수업 분야에서 실시간 소통이 가능한 쌍방향 수업은 주된 교육 수단이자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발전하고 있습니다.


이미 세계 최고 수준의 스마트폰 보급률(2021년 기준 - 성인 95%)을 자랑하는 우리나라는 테크놀로지가 생활 속 일부로 자리 잡고 있으며 일찍부터 스마트 기기에 익숙한 학생들에게 하나의 교육 보조 수단이자 어쩌면 학습자에게 없어서는 안 될 필수적인 교육 방법이 되어 가는 중입니다.


이처럼 스마트 기기에 익숙한 학습자에게 인공 지능 기술을 활용한 맞춤형 교육이 가능하고 AR과 VR과 같은 메타버스(Metaverse) 기술을 접목한 학습으로 재미까지 더한 에듀테크는 이제 효율과 재미라는 두 마리의 토끼를 모두 잡을 수 있는 하나의 트렌드이자 수단을 갖춘 교육 수단으로 부상하고 있는 중입니다.


<Image By shutterstock>



에듀테크의 방향성


전문가들은 기술의 발전이 불러온 에듀테크가 새로운 패러다임의 교육 환경을 만들어 주는 것은 사실이지만 결국 하나의 보조 수단이자 도구라는 점을 잊지 말아야 한다고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에듀테크는 모든 학습자와 모든 교육에 만능이 아니며 결국 교육의 핵심에는 사람이 있기 때문입니다.


앞으로의 교육 분야에 혁명을 이끌 기술이며 위드 코로나 시대의 새로운 패러다임이 되어 가고 있는 교육 서비스인 ‘에듀테크’가 세계적인 인터넷 강국이자 높은 교육 수준을 자랑하는 우리나라에서는 어떻게 활용되고 자리잡게 될지 주목해 볼 필요가 있겠습니다.



조회수 239회댓글 0개

최근 게시물

전체 보기

17~18세기 프랑스 상류사회의 사교 모임을 ‘살롱’이라고 합니다. 살롱은 응접실을 뜻하는 프랑스어로손님들에게 식사나 차를 대접했습니다. 초대받은 손님들은 그곳에서 서로의 지식을 나누었습니다. 당시 살롱 손님들은 고상한 취미와 예의, 교양을 갖춘 사람들이라고 인정받았으며 각 분야의 지식인들이 자신이 가진 것들을 나눴기 때문에, 재능을 나누는 장소라는 의미에

최근 날로 격화되는 브랜드 간 경쟁에서 앞서가기 위해, 많은 브랜드가 소비자 고객을 대상으로 브랜드 마케팅 차원에서 고객 경험의 중요성을 강조하면서 체험 마케팅을 활용합니다. 오래 전부터 마케팅 및 심리학 분야의 연구자들이 고객 경험과 고객의 브랜드에 대한 태도에 대한 다양한 이론적 모델을 제시해 왔는데, 오늘은 실제 소비자를 대상으로 한 실증 연구 결과를

MZ 세대들의 핫플레이스 성지 중 하나인 강남역! 수많은 건물들 사이로 유독 눈에 띄는 한 건물이 있습니다. 모던한 외관에 건물 전체를 둘러싼 커다란 사각형 창이 시선을 사로잡는데요, 바로 지난 6월 29일 오픈한 체험형 플래그십 스토어 ‘삼성 강남’입니다. MZ 세대를 공략하는 마케팅의 중요성이 커지는 가운데, 삼성 역시 소비시장의 큰 손으로 떠오르고 있

bottom of page